에너지 관련

미국 PG&E CEO와 일론 머스크의 인터뷰 (2)

마료루지 2023. 8. 9. 04:07

이전 글 : https://marioluigi.tistory.com/1 과 이어지는 글 입니다. 

 

<PG&E CEO가 일론 머스크와 화상 인터뷰 중 일부 발췌>

-7분 59초부터 11분 41초까지-

 

<참고 정보>

PG&E(Pacific Gas & Electric Company) 로고

미국 PG&E(Pacific Gas and Electric Company)는 캘리포니아 주를 중심으로 하는 에너지 회사로, 전기 및 가스 공급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PG&E는 미국에서 가장 큰 공공 유틸리티 중 하나로, 거의 16만 개의 제어 지점과 수백만 명의 고객에게 전력과 가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버퍼링이란?

 

에너지의 현명한 저장이라고 볼 수 있는 버퍼링은 완충을 의미한다.

다양한 상황에서 에너지 전환은 중요하다. 에너지가 과잉될 경우 에너지 버퍼링을 잘 한다면 나중에 에너지 부족을 보충할 수 있는 공간할 수 있는 스마트 스토리지 기능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the smart storage of energy)


<이전 글(https://marioluigi.tistory.com/1)에 이어지는 내용>일론이 수많은 변전소와 송전선을 늘릴 필요가 없다고 얘기하였다.

# PG&E CEO Patti Poppe, 인터뷰 호스트

정말 중요한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특히 저희 청중들에게 말입니다. 저희가 Indeed documet에 공유한 연구 개발 서류를 보면 오늘부터 미래까지 70개의 리스트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얘기하고 있는 것이 기존에 존재하는 자산을 완전하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희는 가장 낮은 사회 비용으로 우리의 경제를 탄화(carbonization)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설비 시설보다 더 최적화 시킬 수 있는 설비가 필요하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 날, 일론씨가 말씀하셨듯이 우리는 현재 피크 시간들 더하기 추가로 15%를 발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저희가 제공된 자원들을 최대로 활용하여 피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다고 가정합시다. 그리고 해가 졌습니다. 해가 지고 나서 저희는 Elkhorn과 MegaPack들 그리고 각 주택의 전원 공급 장치와 전기 자동차들이 전기수요 피크를 낮출 수 있습니다. 이 전기 배터리들이 전기 사용량을 세 배로 늘리는 것 뿐만 아니라 피크를 낮출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다면 소비자들에게 더 저렴한 가격에 에너지도 제공할 수 있는, 보다 활용적인 시설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에너지 소비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관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어느 반론이라도 괜찮습니다.

 

Elon, I think you are talking about something really important. Especially for this audience. One of our points of view that we share in our Indeed document, we published an R&D document that lists 70 from today to the future. And one of them is talking about the full utilization of our existing assets and we have a point of view that the carbonization of our economy at the lowest societal cost requires a much more optimized grid than exists today. And today, we, as you mentioned we build the whole system for those peak hours plus 15%. And so if we can fully leverage the distributed resources on those peak hours now the sun stops shining. When the sun stops shining, we need a resource that is where Elkhorn, the MegaPacks, and the residential power packs can play a role as well as EVs can help to bring down that peak and not just as we add 3 times more energy usage not just add to the peak but in fact if we can add to the peak less and fill the belly of the duck as we say more than we can get a more fully utilized energy grid which could be more affordable for customers. They actually could spend less on energy. What is your point of view about that you can disagree if you want anything?

 

# 일론(Elon)의 답변

아니요, 제 생각에는 전기 가격에 대한 압박이 있을 것입니다. 전기의 수요가 늘어나면 가격은 가격 압박을 받게 되는데요. 이는 메가 팩(MegaPack)과 같은 배터리들에게는 좋은 소식입니다. 통신이 가능한 배터리 팩들이 만 명의 사용자들의 집 안에 설치되어 함께 작동하여 에너지 버퍼링을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총 가능 전력을 증가시키는데 엄청난 도움이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전력을 잘 활용(버퍼링) 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풍력과 태양열 같은 신재생 에너지들 말입니다. 버퍼링은 꼭 필요한 기술입니다. 스페이스 X와 스타링크에서 사용 중인 인공위성들은 모두 태양열 배터리로 작동합니다. 전부 지구의 낮은 궤도에 위치하여 있습니다. 그래서 지구의 그림자 밑으로도 통과합니다. 지구 자체도 그냥 하나의 큰 인공위성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저의 예측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모든 전기는 은과 태양열의 조합으로 작동하게 될 것입니다. 태양광은 정말 거대합니다. 태양열의 평방 기가와트를 대략 수학적으로 계산했을 때, 대충 하루에 기가와트 입니다. 제가 만약 평방 킬로미터를 맞게 기억하고 있다면요. 하여튼 많은 양입니다. 

 

No, I think there will be price pressure on electricity because when you increase demand there tends to be pricing pressure on something. But the good news is with the batteries at scale either like MegaPack. Battery packs or the summation of power walls at users' homes where it is all communicating and you can have 10,000 power walls will operating together to buffer the power. This is going to be extremely helpful in increasing total electricity availability. Because you just have to buffer it. Especially with renewables obviously with wind and solar. The buffering is essential. If you like to say SpaceX and Starlink satellite constellation which is a majority of all satellites currently in operation, they are all solar battery powered. And they are in low earth orbit. So, they go through Earth's shadow. You can think of Earth as just a big satellite. My prediction is, that in the long term, the most electricity will be generated with silver and with a solar battery combination. Solar energy is just absurdly gigantic. Gigawatt of solar incidence per square kilometer roughly or through of another way when you do all the math, it sort of roughly works out to a gigawatt hour per day. If I recall correctly per square kilometer. It is a lot.

 

# PG&E CEO Patti Poppe, 인터뷰 호스트

네, 정말 많은 양입니다. 무언가 해야 하겠네요.

 

Yes, it is a lot. We should react.

 

# 일론(Elon)의 답변

우리는 3도에서 얼린 아이스 볼이 있습니다. 만약 태양이 없다면 찰흙같이 어둡고 지옥처럼 추웠을 것입니다.

 

We have frozen ice ball at roughly 3 degrees Kelvin, if it was not for the sun, it would be pitch dark and cold as hell.

 

# PG&E CEO Patti Poppe, 인터뷰 호스트

네, 하지만 불행히도 저희는 태양이 있죠.

 

Yes, right. Unfortunately, we have the sun.

 

# 일론(Elon)의 답변

불행히도, 우리는 태양이 어마어마한 양의 에너지를 매일 던지고 있고 이는 유지비가 하나도 들지 않는데다가 매일 매일 나타납니다. 정말 놀랍습니다. 융합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하늘에 핵융합로가 존재하며 매일 매일 나타납니다. 그런데 왜 땅에다만 지어야 할까요? 말도 안 됩니다. 

 

Unfortunately, we have the sun which is throwing off absurd amounts of energy and it is zero maintenance and it just shows up every day. It's amazing. What do you think about fusion? We have a fusion reactor in the sky that just shows up every day. Why do you need to build one on the ground? That does not make any sense!

 

# PG&E CEO Patti Poppe, 인터뷰 호스트

 

네 일론씨 그 생각과 관련하여 에너지 시스템의 미래에 대하여 생각해봅시다. 어떤 역할.. 아 잠시 여기서 좀 현실적인 용어들을 사용하여 질문하겠습니다. 죄송하지만 양해 바랍니다. 현재의 설비 구조와 저희 PG&E 같은 유틸리티 회사가 적은 비용으로 무 탄소화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저희에게 주실 수 있는 조언들이 있을까요?

 

Elon, with that thought, as you imagine the energy system of the future. What role do you think ... I am going to bring it back to just kind of practical terms here so... I am sorry for that but ... What do you think the role of the grid and a utility like PG&E is in causing that lowest cost societal transition to a decarbonized economy what do you think our role is? and what advice do you have for us as well?

 

# 일론(Elon)의 답변

제 생각에는 일반적으로 태양열과 풍력을 이용한 배터리 저장 측면으로 이끌어 나가는 것이 (올바른 역할이) 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태양열과 풍력과 같은 자연과 친해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올바른 접근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미국이 신재생 에너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하고, 중국을 포함한 다른 많은 나라들도 이렇게 자연에서 가져올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봅니다. 그러므로 이 트렌드가 지속된다면 우리는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전기수요가 얼마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든 그건 실제보다 낮을 것입니다. (전기 수요가 아주 많을 것이라는 의미)

 

I think generally leading in the direction of solar and wind combined with battery storage, because of the intimate nature of solar and wind is the general the right approach, and I think a lot of that is happening and we see the go through renewables in the United States and actually in most places in the world including China is very high, so if that trend continues and probably will then you know mostly I think we are headed for a good place. I would just say whatever your demand predictions are for electricity, I suspect they are too low. 

 

# PG&E CEO Patti Poppe, 인터뷰 호스트

명심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론씨,

 

그래서, 일론씨께서는 인공지능(AI)와 애증 관계라고 들었는데요. 정말 사랑하지만 정말 무서운 기술이라고 자주 언급하셨습니다. 미래에서 AI는 어떤 위치에 있어야 하고 미래 에너지 시스템에 대해 어떤 결정을 할까요?

 

I am taking a note Elon!


So, Elon I know you kind of have a love-hate relationship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on the one hand you love it on one hand it is scary. What role do you think AI has in this grid of the future and the elect the Energy System of the future?

 

미래의 AI이 갖춰야 할 역할과, 미래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어떤 선택을 AI는 내릴까에 대한 일론의 답변은 다음 회차 (3)편에 이어 포스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 이 스크립트 번역은 제가 개인적으로 공부하기 위한 것으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혹시 저의 번역에 오류가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알려주시고, 이 글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 https://youtu.be/1oq61SJBsr8